실무상 판단 기준 및 유의사항
- “근로기준법은 근로자를 위한 최소한의 방패입니다” -
- 근로기준법 위반 시 형사처벌 가능성 있음 : 근로기준법 위반행위는 대부분 형사처벌 조항이 함께 존재하며, 예컨대 임금 체불, 부당해고, 휴게시간 미부여 등은 징역 또는 벌금형의 처벌 대상입니다.
- 서면 근로계약서 미작성도 처벌 대상 : 근로계약 체결 시 임금·근로시간 등 필수 항목을 기재한 서면 계약서를 교부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제17조·제114조).
- 부당해고는 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 가능 : 해고가 정당한 이유 없이 행해진 경우 근로자는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할 수 있으며, 노동위에서 부당해고로 인정되면 복직 또는 손해배상(임금 상당액) 명령이 내려집니다.
- 연장·야간·휴일근로에는 추가수당 필수 : 법정근로시간 외 근로에 대해서는 반드시 50% 이상의 가산수당을 지급해야 하며, 이를 누락하면 임금체불로 형사고소 및 민사소송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5인 이상 사업장은 대부분 조항 적용 대상 : 연차휴가, 휴게시간, 연장근로수당 등은 5인 이상 사업장에 우선 적용되며,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에도 일부 조항은 예외 없이 적용되므로 사전 검토가 필요합니다.
법무법인 YK 입니다.
“법무법인 YK 노동·산업재해센터는 근로기준법에 대한 다수의 전문가와 수많은 실무 경험를 바탕으로 의뢰인의 상황에 따라 의뢰인의 만족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