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상 판단 기준 및 유의사항
- “해고는 사용자의 권한이지만, 절차를 지키지 않으면 무효입니다” -
- 서면 해고 통지 없으면 무효 : 구두 해고는 법적으로 효력이 없으며, 서면으로 해고 사유와 시점을 명시해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27조 위반 시 해고 자체가 무효로 판단됩니다.
- 해고 사유가 ‘정당’해야 함 : 업무태만, 결근, 비위행위 등 사유가 객관적으로 입증되어야 하며, 경고·징계 등 선행 조치 없이 즉시 해고하면 부당해고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정리해고 요건이 엄격 : 경영상 긴박한 필요, 해고회피 노력, 공정한 기준, 근로자 대표와 성실한 협의가 모두 충족돼야 하며, 형식적 절차만 밟은 경우에도 무효 판단 가능성이 큽니다.
- 해고 무효 시 구제수단 존재 : 부당해고에 해당하면 노동위원회 구제신청, 민사상 손해배상청구, 임금 지급명령 신청 등 근로자는 법적으로 다양한 복원 조치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해고 이후 불이익조치 금지 : 해고를 이유로 한 퇴직금 미지급, 경력누락, 채용방해 등은 별도의 불법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법무법인 YK 입니다.
“법무법인 YK 노동·산업재해센터는 해고에 대한 다수의 전문가와 수많은 실무 경험를 바탕으로 의뢰인의 상황에 따라 의뢰인의 만족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