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상 판단 기준 및 유의사항
- “한 번 실수로 징계 받으면, 회복이 안 되나요?” -
징계는 조직 구성원이 법령, 직무상 의무, 윤리 규정을 위반한 경우 부과되는 공적 제재로, 단순한 인사 조치와 달리 경력·재직기록·승진·전보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행위입니다. 징계의 정당성과 비례성 여부는 실무에서 반복적으로 다투어지는 쟁점입니다. 주요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절차적 정당성 확보 여부 : 징계는 사전통지, 의견청취, 징계위원회 개최, 사실확인조사 등 형식과 절차 요건이 엄격히 요구되며, 이를 생략하거나 형식만 갖춘 경우 징계처분이 위법해져 취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행위의 고의성·반복성 여부 : 단순 과실이나 일회성 실수, 고의가 아닌 행위는 견책·주의 등 경징계로 축소될 가능성이 있으며, 의도된 비위행위, 반복적인 위반은 중징계 사유가 됩니다.
- 조직에 미친 영향과 파급력 : 조직의 대외 신뢰를 크게 훼손하거나 언론 보도 등으로 공공기관의 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경우, 비교적 가벼운 비위라도 정직 이상 중징계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 해당인의 반성 및 개선 가능성 : 조사 중 진솔한 사과, 재발방지 교육 수료, 유사 전례와의 비교 등이 양정에 고려되며, 실제 실무에서는 징계위원회에서 감경 사유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징계와 별도로 민·형사 책임이 병존하는지 여부 : 예컨대 공금횡령이나 폭행 등은 징계 외에 형사고발 및 손해배상청구까지 이어질 수 있어, 징계만으로 사안이 종결되지 않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징계는 단순한 질책이 아니라, 경력을 뒤흔드는 행위입니다. 불이익을 최소화하려면, 명확한 사실관계 정리와 의견제출이 핵심입니다.
법무법인 YK 입니다.
“법무법인 YK 노동·산업재해센터는 징계에 대한 다수의 전문가와 수많은 실무 경험를 바탕으로 의뢰인의 상황에 따라 의뢰인의 만족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