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이 인정하는 로펌
여러분이 직접
확인해 보세요.
-
언론보도 · 이투데이
경호처 차장 4번째 구속영장 신청…檢, 커지는 부담 속 영장 청구할까
2025.03.18 이투데이에 법무법인 YK 전형환 변호사의 인터뷰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법무법인 YK 전형환 변호사 경찰이 윤석열 대통령 체포를 방해한 혐의를 받은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에 대한 네 번째 구속영장을 검찰에 신청했다. 흔치 않은 횟수의 영장 재신청인 만큼 법조계에서는 부담을 느낀 검찰이 영장을 청구할 가능성이 크다는 추측이 나온다.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경찰 국가수사본부는 전날 서울서부지검에 김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구속영장 신청서를 받은 서부지검은 청구 여부를 검토 중이다. 서부지검에서 구속 수사의 필요성이 없다고 수차례 판단했음에도 경찰이 다소 무리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경찰 출신 전형환 법무법인 YK 변호사는 “수사 단계에서는 증거 인멸이나 도주 우려, 재판 단계에서 현저한 지장이 생길 경우를 가정해 피의자를 구속한다”며 “경찰이 추후 실형이 나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구속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네 번째까지 온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2025.03.19 -
언론보도 · 글로벌에픽
부당해고소송, 효율적으로 진행하려면 증거 자료부터 확보해야
2025.03.18. 글로벌에픽에 법무법인 YK 부당해고소송 관련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법무법인 YK 조인선 노동전문변호사는 “부당해고구제절차와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소송(부당해고소송)은 근로자의 억울함을 다툴 수 있는 제도이고, 소송과정에서 노동위원회 단계 당시 제출하지 못했던 증거에 대해서 객관적인 사실조회신청 등 증거신청을 통한 입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송에서는 재판부가 당사자가 주장하는 내용과 제시한 증거에만 입각하여 판단을 내리기 때문에, 당사자가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억울함을 호소해도 재판부를 설득할 수 없다. 따라서 부당해고소송을 진행하고 싶다면 징계사유의 존부, 징계절차의 적법여부, 징계양정에 대해서 꼼꼼하게 따져보고, 부당해고에 해당한다는 점을 입증하기 위해 어떠한 증거가 추가로 필요한지 잘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전문보기]
2025.03.18 -
언론보도 · 한국경제
"전통시장 상인도 대기업 수준 법률서비스 받게 할 것"
2025.03.16. 한국경제에 법무법인 YK 강경훈 대표변호사의 인터뷰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법무법인 YK 강경훈 대표변호사 “한 사람의 인생을 좌우하는 소송을 돈벌이 수단으로 여기면 안 된다는 생각만큼은 확고합니다.” 강경훈 법무법인 와이케이(YK) 대표변호사(사법연수원 40기·48)는 지난 14일 “전국 분사무소를 ‘체인점’으로 보면 곤란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YK는 요즘 법조계에서 가장 ‘핫한’ 로펌이다. 2020년 법률사무소에서 법무법인으로 전환한 뒤 불과 4년 만에 1500억원대 실적을 내며 7대(연 매출 기준) 로펌에 진입했다. 이 같은 폭발적 성장세에 대형 로펌들은 긴장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일각에선 ‘네트워크 로펌’이나 ‘생태계 교란종’이라는 딱지를 붙이기도 한다. 그는 이런 세간의 인식에 “‘네트워크 병원’에서 따온 네트워크 로펌이란 용어를 쓰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라며 “YK는 32개 분사무소로부터 로열티를 걷지 않고, 주사무소가 분사무소의 재무·인사·회계 등 일체를 관리하는 ‘원펌(One-Firm)’”이라고 강조했다. 겉으로는 프랜차이즈식 운영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질은 다르다는 얘기다. 오히려 본사 직영 시스템을 취하는 스타벅스와 비슷하다는 설명이다. 신생 로펌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선 ‘희생’에 가까운 투자가 필요했다. ‘100% 공산제’에 따른 강력한 리더십 덕에 과감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했다는 분석이다. 공산제란 대형 로펌이 주로 채택한 개인 성과 기반의 ‘별산제’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일반 기업처럼 소속 변호사들이 함께 벌어 함께 나누는 방식을 말한다. 별산제하에서는 의사결정 권한이 여러 파트너 변호사로 분산될 수밖에 없다. 강 대표는 “지난 5년간 사무실 투자에만 250억원가량을 쏟아부었다”며 “올해도 기업 비즈니스를 할 수 있는 변호사 100명을 추가 영입해 맨파워를 한층 탄탄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YK의 성공 비결로 “대기업 간 사건에 매몰되지 않고, 중소·중견기업 간, 기업·개인 간 사건도 폭넓게 수임해 고객 저변을 꾸준히 늘린 것”을 꼽았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경제 허리를 떠받치고 있는 수백만 중소·중견기업도 대기업과 같은 법률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게 YK의 목표”라며 “7조원 규모 법률 시장 전체가 YK의 비즈니스 대상”이라고 강조했다. 기사전문보기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