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보도 · 한국경제

"전통시장 상인도 대기업 수준 법률서비스 받게 할 것"



2025.03.16. 한국경제에 법무법인 YK 강경훈 대표변호사의 인터뷰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법무법인 YK 강경훈 대표변호사

“한 사람의 인생을 좌우하는 소송을 돈벌이 수단으로 여기면 안 된다는 생각만큼은 확고합니다.”

강경훈 법무법인 와이케이(YK) 대표변호사(사법연수원 40기·48)는 지난 14일 “전국 분사무소를 ‘체인점’으로 보면 곤란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YK는 요즘 법조계에서 가장 ‘핫한’ 로펌이다. 2020년 법률사무소에서 법무법인으로 전환한 뒤 불과 4년 만에 1500억원대 실적을 내며 7대(연 매출 기준) 로펌에 진입했다. 이 같은 폭발적 성장세에 대형 로펌들은 긴장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일각에선 ‘네트워크 로펌’이나 ‘생태계 교란종’이라는 딱지를 붙이기도 한다.

그는 이런 세간의 인식에 “‘네트워크 병원’에서 따온 네트워크 로펌이란 용어를 쓰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라며 “YK는 32개 분사무소로부터 로열티를 걷지 않고, 주사무소가 분사무소의 재무·인사·회계 등 일체를 관리하는 ‘원펌(One-Firm)’”이라고 강조했다. 겉으로는 프랜차이즈식 운영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질은 다르다는 얘기다. 오히려 본사 직영 시스템을 취하는 스타벅스와 비슷하다는 설명이다.

신생 로펌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선 ‘희생’에 가까운 투자
가 필요했다. ‘100% 공산제’에 따른 강력한 리더십 덕에 과감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했다는 분석이다. 공산제란 대형 로펌이 주로 채택한 개인 성과 기반의 ‘별산제’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일반 기업처럼 소속 변호사들이 함께 벌어 함께 나누는 방식을 말한다. 별산제하에서는 의사결정 권한이 여러 파트너 변호사로 분산될 수밖에 없다. 강 대표는 “지난 5년간 사무실 투자에만 250억원가량을 쏟아부었다” “올해도 기업 비즈니스를 할 수 있는 변호사 100명을 추가 영입해 맨파워를 한층 탄탄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YK의 성공 비결로 “대기업 간 사건에 매몰되지 않고, 중소·중견기업 간, 기업·개인 간 사건도 폭넓게 수임해 고객 저변을 꾸준히 늘린 것”을 꼽았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경제 허리를 떠받치고 있는 수백만 중소·중견기업도 대기업과 같은 법률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게 YK의 목표”라며 “7조원 규모 법률 시장 전체가 YK의 비즈니스 대상”이라고 강조했다.

 
2025.03.17
37명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