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고죄는 형사사법제도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피무고인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중대한 범죄로, 타인의 형사처벌이라는 중대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형 선고 비율도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성범죄 고소 후 무죄판결이 나온 사안에서 역으로 무고죄가 성립되는지 여부가 사회적으로 뜨거운 쟁점이 되고 있으며, 법원은 허위 신고의 고의 유무를 보다 엄격하게 판단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무고죄는 신고 남용, 보복성 고소, 가정불화·직장 갈등 등의 상황에서 빈발하고 있어, 수사기관은 무고 여부 판단에 매우 신중하게 접근하며, 허위성 입증 자료 및 진술의 일관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형량의 기준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
유형 | 구분 | 감경 | 기본 | 가중 |
---|---|---|---|---|
1 | 일반 무고 | ~ 1년 | 6월 ~ 2년 | 1년 ~ 4년 |
2 | 특가법상 무고 | 1년 ~ 3년 | 2년 ~ 4년 | 3년 ~ 6년 |
법무법인 YK 입니다.
“법무법인 YK 형사센터는 무고죄에 대한 다수의 전문가와 수많은 실무 경험를 바탕으로 의뢰인의 상황에 따라 의뢰인의 만족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