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금융기관 부실대출, 기업 자산 유용, 대규모 투자사기, 분양사기, 재건축 비리, 고위 공직자의 배임 횡령 등 사회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처벌의 핵심 근거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특히 50억 원 또는 300억 원 이상의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공소시효 연장, 집행유예 불허, 범죄수익 추징 및 몰수, 취업제한, 범죄수익환수법과 연계 등 여러 제도적 장치가 작동되며, 사건 규모가 크고 공적 피해가 명백한 경우에는 징역 5년 이상 또는 무기징역의 실형이 실무상 기준이 됩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실질 피해 회복이 어려운 구조적 금융 사기나 민사상 책임과 형사처벌 간 중첩으로 인한 과잉 형벌 우려에 대한 비판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피해자 보호와 가해자의 방어권 보장 사이의 균형 조정이 중요한 법적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유형 | 구분 | 감경 | 기본 | 가중 |
---|---|---|---|---|
1 | 1억 원 미만 | ~ 1년 | 6월 ~ 1년6월 | 1년 ~ 2년6월 |
2 | 1억 원 이상, | 10월 ~ 2년6월 | 1년 ~ 4년 | 2년6월 ~ 6년 |
3 | 5억 원 이상, | 1년6월 ~ 4년 | 3년 ~ 6년 | 4년 ~ 8년 |
4 | 50억 원 이상, | 3년 ~ 6년 | 5년 ~ 9년 | 6년 ~ 11년 |
5 | 300억 원 이상 | 5년 ~ 9년 | 6년 ~ 11년 | 8년 ~ 17년 |
법무법인 YK 입니다.
“법무법인 YK 형사센터는 특경법 위반 관련죄에 대한 다수의 전문가와 수많은 실무 경험를 바탕으로 의뢰인의 상황에 따라 의뢰인의 만족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